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는 서울 재개발 당시 ‘적준 용역’에 의해 행해진 참혹한 폭력을 집중 조명한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꼬꼬무)가 1990년대 서울 재개발 현장에서 악명 높았던 ‘적준 용역’의 폭력을 심층 조명한다. 이날 방송에서는 베이비복스 출신 윤은혜가 리스너로 출연해 가수 활동 중 맞았던 염산 물총과 날계란 사건을 언급하며 자신의 트라우마를 털어놓았다. 윤은혜는 피해자들이 겪은 참혹함에 깊은 공감과 분노를 가감 없이 드러내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이번 방송은 피해자들의 고통과 여전히 잊히지 않는 상처를 조명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재개발을 이유로 자행된 폭력은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했으며, 어린아이부터 임산부, 부녀자까지 대상 구분 없는 폭력이 자행됐다. 당시를 취재했던 기자조차 참상을 회상하며 “전쟁터 못지않았다”라고 말했을 정도로 참혹한 현장이었다고 전해진다.
베이비복스 활동 당시 염산이 담긴 물총에 맞아 실명 위기를 겪었던 윤은혜는 한동안 통원 치료를 받으며 삶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고 고백했다. 날계란을 맞고 트라우마로 힘들었던 기억, 수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잊지 못하는 그 아픔을 담담히 전했다. 이와 함께 재개발 과정에서 당한 철거민 피해자들의 고통을 마주하고 “철거민분들의 상처는 말로 다할 수 없다”고 안타까운 마음을 전했다.

방송에서는 ‘너구리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강압적 철거 방식이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이는 주민을 건물 밖으로 몰아내기 위한 비인간적 수단으로, 다수의 철거민이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목숨을 잃었다는 충격적 사례가 전해진다. 피해를 직접 겪은 주민들은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신적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으며, 이번 ‘꼬꼬무’는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인다.
방송에서는 1990년대 서울 곳곳에서 일어난 무차별 폭력이 생생하게 그려졌다. ‘적준 용역’으로 불린 용역 깡패들은 초등학생을 계단 아래로 던지고, 임산부와 부녀자를 대상으로 폭행과 무자비한 범죄를 저질렀다. 현장 취재 기자들조차 “전쟁터 못지않았다”고 말할 만큼 참혹한 풍경이 펼쳐졌다. 일명 ‘너구리 작전’이라 불리는 비인도적 철거 방식은 피해자들에게 평생 남을 상처를 주었다.

이날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꼬꼬무) 스튜디오에는 배우 윤은혜, 가수 KCM, 배우 채서진이 첫 리스너로 출연해 깊은 몰입과 분노를 드러냈다. 장현성은 베이비복스 팬임을 밝히며 윤은혜를 반겼고, KCM은 “끝까지 보는 프로그램”이라는 애정을 표현했다. 연이어 KCM은 “사람이 아닌 것 같다. 악마다”라며 분노했고, 채서진은 “너무 잔인하다. 살아있는 지옥이다”라고 씁쓸한 속내를 내비쳤다.

윤은혜 역시 적준 용역의 만행이 계속되자 “감옥에 가야지요. 이 정도면 싹 다 가야지요”라고 강한 분노를 표했다. 스튜디오 리스너들은 방송 내내 참상과 피해자들의 고통에 함께 울고, 격노하며 사건의 실체와 무게를 되새겼다.
프로그램 후반부에서는 적준 용역의 구체적인 실태와 당시 공권력의 태도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진다. 폭력을 방관했던 환경은 사회적 분노를 촉발했고, 재개발이라는 명목 아래 벌어진 인권 유린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당시 피해 상황은 지금까지도 치유되지 않은 채 남아 있어, 재구성된 화면과 증언들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무겁게 한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꼬꼬무)는 재개발을 빙자해 자행된 폭력의 내막을 파헤치며 공권력의 묵인과 참혹한 피해자들의 현실을 조명한다. 세 명의 이야기꾼이 각자의 ‘이야기 친구’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매주 목요일 저녁 10시 20분 생생하게 시청자들을 찾아간다. 이번 회차는 재개발구역의 폭력적 참사, 피해자들의 오랜 트라우마, 사회적 시스템의 허점까지 면밀히 들여다본다. 윤은혜, KCM, 채서진 등 리스너들의 뜨거운 공감과 분노는 피해자들을 향한 위로와 연대의 메시지로 이어졌다.
SBS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기’(꼬꼬무)는 9월 11일 밤 10시 20분 방송된다.
